본문 바로가기

java spring31

spring mvc 05 - annotation으로 DI하기(@Service, @Controller) @Service 전 포스팅에서 생성된 빈 객체들을 @Autowired를 사용하여 조립하였다. 이제 빈 객체들을 하나씩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생성하도록 해보자. 지난 포스팅에서 위 xml의 24라인을 어노테이션으로 바꿧다. 의존성 주입을 위해서는 @Autowired가 필요하지만 빈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@Component가 사용된다. 또한 @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14라인의 코드가 필요하다. 해당 코드는 base-pakage에 적힌 패키지들을 둘러보며 @Component 어노테이션이 있는지 찾아보라는 것이다. 또한 이 코드가 13라인의 코드를 포함하므로 13라인은 생략할 수 있다. 이제 23라인의 JDBCNoticeService 클래스에 어노테이션을 사용해보자. 22라인을 보면.. 2021. 5. 6.
spring mvc 04 - annotation으로 DI하기(@Autowired) xml파일로 주입하던 의존성을 어노테이셔 기반으로 바꿔보자. 각 xml에 아래 빨간 밑줄과 같은 코드가 필요하다. 위와 같은 내용이 있어야 스프링이 어노테이션으로 의존성을 주입함을 알 수 있다. 위의 xml파일의 주석처리한 17라인을 @Autowired를 사용하여 주입한다. @Component가 아닌 @Autowired를 쓰는 이유는 당연하다. 우리는 Bean객체를 새로 등록하는게 아니라, 이미 만들어진 빈 객체를 조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. Component가 Bean 객체를 생성해준다면, Autowired는 생성된 객체를 다른 객체에 주입(=조립)해준다. 그니까 위에 보이는 NoticeService형 객체 noticeService는 이미 빈 객체가 생성된 것이다. 아래의 service-context.x.. 2021. 5. 6.
404에러 : 오청된 리소스 *은(는) 가용하지 않습니다. 스프링 공부하다가 에러가 자꾸 떠서 프로젝을 다시 만들었는데 404에러 : 오청된 리소스 /index은(는) 가용하지 않습니다. 라는 에러가 떳다. 그래서 어떤 분의 글을 보고 해결하였다. https://kkkapuq.tistory.com/92 [Eclipse, Tomcat] Tomcat 404 not found, 요청된 리소스 [/]은(는) 가용하지 않습니다. 문제 사항 이클립스로 톰캣 설정을 하는데,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. 원인 분석 서버 설정에서 Path를 잘못 잡아줬기 때문. 해결 방법 서버 더블클릭해서 설정을 열고, 해당 항목을 ' / ' 하나 kkkapuq.tistory.com 2021. 5. 5.
Could not publish server configuration for Tomcat v9.0 Server at localhost.Multiple contexts have a path of "/프로젝트명". Could not publish server configuration for Tomcat v9.0 Server at localhost.Multiple contexts have a path of "/프로젝트명". 위와 같은 에러가 떠서 구글링 하고 다 찾아봤는데 해결되지 않다가 스택오버플로 보고 Server/Tomcat/server.xml에서 중복된 내용을 삭제했더니 해결되었다. 위 사진의 빨간색 밑줄 부분이 에어 당시에 2개로 중복되어있었다. 하나 삭제해주면 된다~ 2021. 5. 5.